교육안내 및 자료 수강후기

수강후기

무의미한 온라인 법정의무교육, 이대로 계속할 것인가 작성자 | 손*호
강의만족도

온라인 법정의무교육은 이제 그 본래 목적을 완전히 상실했다. 실효성 없는 형식적 이수, 콘텐츠라고 부르기도 민망한 저급한 강의, 그리고 매년 수천억 원의 예산이 소모되는 구조. 이 모든 것이 ‘교육’이라는 명분 아래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국민의 세금이, 조직의 자원이, 개인의 시간이 낭비되고 있다.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현실을 보자. 대부분의 수강자는 영상을 틀어놓고 딴짓을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교육이 아무 의미도 없기 때문이다. 누구나 다 아는 뻔한 내용, 10년 전 제작한 듯한 슬라이드, 형식적인 퀴즈. 문제는 이 따분한 교육이 여전히 “법정 의무”라는 이름으로 강요된다는 점이다. 직원들은 연말이 되면 ‘교육 이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영혼 없는 클릭을 반복한다. 이게 과연 ‘예방’이 되고, ‘의식 제고’가 되는가? 웃기는 일이다.

더 한심한 것은 콘텐츠 품질이다. 영상은 촌스럽고, 강사의 전달력은 형편없으며, 사례는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심지어 오탈자 투성이의 자막, 음성 싱크도 안 맞는 강의, 마우스로 클릭만 유도하는 UX까지. 교육이 아니라 조악한 상품이다. 문제는 이 조악한 콘텐츠가 몇몇 온라인 교육 대행사의 독점 계약을 통해 반복적으로 납품되고 있다는 점이다. 해마다 내용은 바뀌지 않지만, 예산은 꾸준히 흘러간다. 말 그대로 ‘배불리기’다.

이는 명백한 세금 낭비이자 관행이라는 이름의 구조적 부패다. 정부는 "의무교육 이수율 100%"를 실적이라 말하지만, 그 이면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탁상행정의 전형이다. 교육을 가장한 시간 낭비, 콘텐츠를 빌미로 한 예산 빼먹기, 참여자 모두가 실효성을 부정하는 허울뿐인 제도. 이제는 멈춰야 한다.

법정의무교육이 진정 필요하다면, 실질적인 효과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편해야 한다. 의미 없는 영상 시청이 아니라, 참여와 숙고를 유도할 수 있는 몰입형 콘텐츠, 상호작용 기반 학습, 직무와 맥락을 고려한 맞춤형 설계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다면 지금 이 제도는 단지 교육이라는 탈을 쓴 예산 유출 통로일 뿐이다.

무의미한 것을 반복하는 데 들이는 비용은 언제나 막대하다.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온라인 법정의무교육이 딱 그렇다. 무의미하고, 무책임하며, 무대책이다. 이대로는 안 된다.

손*호님의 수강하신 강의 정보

샘플강의 ▶ 안전보건교육 [계절별 건강관리]

강사: 김동영 | 학습난이도 : 초급 | 교육시간: 1H (1강)

강의
상세
번호 중분류 제목 강의만족도 작성자
884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계절별 건강관리] 좋아요 김*영
883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안전문화 요인과 변화] 후기 김*원
882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안전문화 요인과 변화] 후기 김*원
881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안전문화 요인과 변화] 후기 김*원
880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안전문화 요인과 변화] 후기 김*원
879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안전문화 요인과 변화] 후기 김*원
878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안전문화 요인과 변화] 후기 김*원
877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안전문화 요인과 변화] 후기 김*원
876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안전문화 요인과 변화] 수강후기 김*원
875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안전 사고시 비상조치와 재발방지] 수강후기 김*원
874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한눈에 이해하는 산업안전보건법] 성폭혁예방 조*욱
873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계절별 건강관리] 무의미한 온라인 법정의무교육, 이대로 계속할 것인가 손*호
872 수강 강의명 : 아는 만큼 지킨다! 전 직원을 위한 영업비밀 보호 교육 유익한 교육이었습니다. 김*영
871 수강 강의명 : 아는 만큼 지킨다! 전 직원을 위한 영업비밀 보호 교육 반부패 청렴교육 김*영
870 수강 강의명 : 안전보건교육 [한눈에 이해하는 산업안전보건법] 가정폭력 조*욱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서

ISMS 인증서